서울시 심리서비스 제도의 지속적인 유지·확대를 위해 모니터링 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모니터링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서비스 효과 확인 및 체계적인 품질관리, 심리지원 정책 개선, 심리서비스 제공인력에 대한 효과적인 지원을 위해 활용됩니다.
대상: 서울시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 제공기관
신청기간: 수시 (종료 시 별도 안내)
신청방법: QR코드 및 URL링크를 통해 모니터링 사업 참여 신청서 작성·제출 모니터링 참여 신청하기 ↗️
자료수집방법: 센터에서 제공하는 태블릿PC용 프로그램 또는 설문지 활용
자료제출방법: 이메일 또는 우편 발송
설문 자료: 정보제공동의서, 기본정보 설문, 회기별 심리평가, 만족도 평가, 종결확인서
모니터링 참여 신청
◼ 모니터링 참여 혜택
1. 지속적인 기관 홍보
• 센터 홈페이지, 블로그, 인스타그램, 소식지 등에 참여기관 정보게시
• (사)한국심리학회 홈페이지에 참여기관 정보 게시
• 센터에서 구축한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 서울시 기관 검색 시 ‘서울시광역심리지원센터 동행기관’ 표시
• 스마트 서울맵에 ‘서울시광역심리지원센터 동행기관’ 표시
스마트 서울맵
'센터 동행기관' 표시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 서울시 기관 검색 ➡️ '서울시광역심리지원센터 동행기관' 표시
2. 태블릿PC용 모니터링 프로그램(어플) 제공
• 2025년 9월 모니터링 프로그램 고도화 예정으로, 보다 편리하게 자료를 수집하실 수 있습니다.
3. 모니터링 결과 제공 (이용자의 변화와 서비스 효과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전체 모니터링 결과 제공
• 기관별 심리서비스 모니터링 데이터 결과 제공: GAD-7, PHQ-9, SUDS 사전 사후 평균 변화 그래프,만족도 각 문항별 평균 제시
4. 센터 교육 및 프로그램 우선 신청 기회 제공
• 슈퍼비전 멘토링 프로그램·일반 및 특화 컨설팅: 참여 우선권 부여
5. 2025년 서울시 심리서비스 품질관리 협력기관 확인증 발급
• 일정: 25년 7월, 9월 발급
• 발급요건: 사업 참여기간 중 50% 이상(월 단위) 자료 제출
→ 예시: 2024. 7. ~ 2025. 6.(총 12개월) → 6개월 이상 자료 제출 시, 발급 가능
* 참여기간이 6개월 미만인 경우, 최소 3개월 이상 자료를 제출하여야 함.
모니터링 프로그램 시작 화면
◼ 서비스 모니터링 참여기관 (25.7. 기준) (총 65기관 중 사전에 홍보 동의 한 기관 51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