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광역심리지원센터는 심리서비스 모니터링으로 수집된 정보를 지속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분석 내용은 시민들에게 더욱 도움이 되는 심리지원 정책과 서비스 개선의 기초 자료로 활용됩니다.
◼ 분석내용: 심리서비스 효과성, 서비스 만족도, 접근성 등
1. 서비스 효과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 이용자 중 126명에 대한 데이터 분석 결과, 심리서비스 매 회기별 평가에서 주관적 불편감과 우울, 불안 척도의 점수가 모두 꾸준히 감소하였습니다.
😊 주관적 불편감: 평균 점수: 6.6점 → 3.6점
✅ 주관적 불편감 평균 3점 감소
😔 우울감 (PHQ-9 기준): 평균 점수: 12.9점 → 7.4점
✅정상 수준 인원: 12명 → 36명 (3배 증가), ✅중간 이상 우울 인원: 72명 → 32명 (40명 감소)
😟 불안감 (GAD-7 기준): 평균 점수: 10.4점 → 6.4점
✅정상 수준 인원: 22명 → 43명 (2배 증가), ✅중간 이상 불안 인원: 61명 → 25명 (36명 감소)
2. 만족도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 이용자 126명의 서비스 이용 만족도 평가 결과, 전반적 만족도를 포함한 모든 항목 (서비스 환경, 서비스 제공, 서비스 결과)에서 평균 4.7이상(5점 만점)의 높은 만족도가 보고되었습니다.
3.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 이용 후기
이용자들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경험했다고 응답했습니다.
* 심리적 문제의 유의미한 감소
* 대인관계와 적응의 개선
* 자기이해의 촉진
* 상담자와의 관계를 통한 수용 경험 등
또한 서비스 이용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제안이 있었습니다.
* 상담 회기 수 확대
* 사업 및 홍보 활성화
* 신청 및 이용 절차 간소화
* 상담자 전문성 관련 제도 개선
* 모니터링 평가방식 개선 등